성지순례12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 승리의 성모 마리아 성당 ▶ 도미니쿠스 교단과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1207년 스페인 출신의 도미니쿠스[Dominicus(Domingo de Guzman)]가 알비(Albi) 파 이단자들에 대한 전도 경험을 바탕으로 창설한 도미니쿠스 교단도 가톨릭 종교개혁의 주도세력이었다. 예수회가 고위층 인사들의 지원하에 선전과 교육을 통한 부드러운 전쟁을 주도했다면, 도미니쿠스 교단은 적극적인 포교 활동과 비타협적인 교의 전쟁을 이끌었다. 개혁의 선봉인 예수회와 오랜 전통을 가진 도미니쿠스 교단의 경합은 극도로 심했는데, 도미니쿠스파 수사들을 예수회원들을 개신교도들과 다를 바 없는 존재로 여겼으며, 실제로 예수회원들 중에는 설립자가 정해놓은 청빈과 순결 규정을 무시하고 실제적인 이득을 따지는 자들이 많았다. 18세기에 도미니쿠스.. 2021. 1. 27. 루터의 종교개혁 / 예수회와 예수 성당 ■ 종교개혁과 가톨릭 종교개혁 1453년 로마 공화국을 세우려던 스테파노 포르카리[Stefano Porcari]의 음모가 발각된 후 아비뇽 유수와 대분열 시기를 겪으면서 땅에 떨어졌던 교황권은 예전의 위세를 되찾았다. 이후 교황들은 세속권력을 확대하고 성도(거룩한 도시) 로마를 치장하는 데 관심을 쏟았는데, 이와 함께 교황들의 축첩 행위와 재산 증식, 권력 다툼 등의 부정적인 현상도 심화되었다. 특히 스페인 출신으로 보르지아 가문을 일으킨 알렉산더 6세(1492~1503년) 교황은 애인 반노짜 카타네이에게서 세 자녀를 얻었는데, 맏아들이 마키아벨리가 의 모델로 삼은 체사레 보르지아였다. 반노짜가 죽은 후 파르네제가의 공작녀 줄리아를 애인으로 삼은 이 교황의 생활방식은 종교개혁의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2021. 1. 25. 로마의 부흥 - 비아 줄리아[Via Giulia] (2) 이 궁전은 1911년 프랑스에 임대되어 현재 프랑스 대사관저로 사용되고 있는데, 2035년에야 임대계약이 끝나게 된다. 방문 절차가 매우 까다로워 일반인이 카라치 회랑의 천장화를 구경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다. 파르네제 궁전 남쪽 두 번째 블록을 차지하고 있는 스파다 궁전[Palazzo Spada]은 16세기 중반에 카포 디 페로 가문의 추기경 지롤라모[Girolamo Capo di ferro]가 세웠는데, 건축가는 카라바조 출신의 줄리오 메리시[Giulio Merisi da Caravaggio]로 추정된다. 참고로, 16세기 말의 자연주의 화가 카라바조는 본명이 미켈란젤로 메리시로 줄리오와 인척 관계였는데, 유명해지는 바람에 추신지 카라바조가 이름으로 굳어져버렸다. 피아첸차 출신 줄리오 마조니[Giulio.. 2021. 1. 18. 로마의 부흥 - 비아 줄리아[Via Giulia] (1) ■ 비아 줄리아[Via Giulia](줄리아 길) 바티칸은 넓고 곧은 새 도로들이 뚫려야 도시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되고 수많은 성지순례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그러한 이유로 앞에서 이야기한 코르소 길과 리페따 길이 15세기 후반에 보수, 신설되었고, 이어서 1503년부터 1523년 사이에 남쪽과 동쪽에서 바티칸으로 진입하는 데 필요한 두 길, 룽가라 길과 줄리아 길이 건설되었다. 길이가 1km 정도인 줄리아 길은 1508년에 율리우스 2세와 브라만테의 주도로 건설되었는데, 도시계획 면에서 르네상스의 이상을 잘 드러내주는 대표적인 로마 거리였다. 이 길은 르네상스 시대 로마 도로망의 동맥이었고 근대 말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했으나, 통일 이후 베네치아 광장과 바티칸을 연결한 간선도로가 뚫리면서 쇠퇴하게 .. 2021. 1. 15. 이전 1 2 3 다음